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공기업 취업
- 강원랜드
- 관평동 점심 추천
- 대전 커피 맛집
- 다낭 볼거리
- 공기업
- 공기업 취업 관련 팁
- 준시장형 공기업
- 공기업 취업 팁
- 다낭 여행
- 공기업 채용 공고
- 송촌동 맛집
- 공기업 채용
- 공기업 면접
- 한국조폐공사
- 대전 맛집
- 공기업 취업 정보
- 관평동 안주 추천
- 공기업 주간이슈
- 한국공항공사
- 청년인턴
- 알리오 채용 공고
- 관평동 커피 맛집
- 시장형 공기업
- 호이안
- 부산 핫플
- 수원화성 맛집
- 공기업 동향
- 관평동 맛집
- 공기업 면접 팁
- Today
- Total
목록준시장형 공기업 (5)
Creative 공기업

'23년 1분기 알리오 경영공시 자료를 기준으로 지난번 부채비율(최근 5개년) 포스팅에 이어 "준시장형 공기업의 '21-'22년 손익계산서"를 간단히 포스팅해 드릴게요. '23년 기준 19개 준시장형 공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요약해 보면, (1) 매출액 '22년 19개 기관의 총매출액은 56조 2,327억 원으로, 17개 기관의 매출액이 증가하고 2개 기관*의 매출액이 감소했어요. * 한국조폐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시장형 공기업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의 점진적 완화에 따른 사회 전반의 회복세 효과로 보여요. (2) 영업이익 '22년 19개 기관 중 12개 기관이 영업이익을, 7개 기관이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전년 대비로는 13개 기관이 개선되고, 6개 기관이 악화되었어요...

시장형 공기업 부채비율 포스팅에 이어, 준시장형 공기업의 부채비율도 당연히 정리해 드려야겠죠?^^ 준시장형 공기업 17개 기관의 '21년 대비 '22년 부채비율*을 보면 * 자본잠식(순자산(자본)이 자본금보다 작아진 상황)인 대한석탄공사, 한국광해광업공단 제외 (1) 11개 기관(한국수자원공사, 한국철도공사 등)의 부채비율이 하락된 반면 6개 기관의 부채비율은 상승하였어요. - 6개 기관의 부채비율 상승 평균은 9.28%p이며, 급등한 기관은 없습니다. (2) 17개 기관 평균 부채비율은 전년대비 6.18%p 하락하였네요. * 산식 : 기관별 부채비율 합계 / 기관수 - '22년 평균이 86.52%로 시장형 공기업 평균(194.98% / 114.72%_한전, 가스공, 지역난방공 제외 시)보다 낮아요. -..

이전 글에서 공기업 채용 시 어학점수 기준을 알아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셨나요^^ 이번에는 서류전형 시 주요 평가기준의 하나인 "자격증"에 대해 포스팅해 볼요. 변호사, 공인회계사, 세무사, 공인노무사, 변리사, 기술사 등 고급 자격증을 가지고 계시다면 좋겠지만,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많은 투자를 해야 하고, 시간도 오래 걸리고, 결실을 장담하기도 어려운 게 사실이에요. 그렇다고 손 놓고만 있을 수는 없겠죠? 자격 우대는 통상 서류전형에 국한되고, 보통 어학점수보다 가중치가 낮게 설정돼요(예시: 어학 80% + 자격증 20%). 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다 있고 본인만 없다면 가중치가 낮아도 크게 불리해질 수 있기에, 서류전형 시 우대받을 수 있는 자격증을 면밀히 살펴보고 효율적으로 접근하는 게 좋을 거 ..

지난 ’23.4.19일 중소벤처기업부에서 “2022년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 결과를 발표했어요. 먼저 최우수 등급을 받은 27개 기관을 포함하여 최선을 다해주신 모든 기관들께 축하와 감사드려요.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는 “동반성장 및 상생협력 분야에서 공공기관의 선도적 역할과 노력을 통한 문화 확산”을 위해 2007년 도입하여 운영 중이예요. 스타트업, 중소기업과 경제를 살리는데 정말 중요한 역할인거 같아요. * 근거법령 :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제19조 2022년에는 공공기관 134개를 대상으로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단(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위원회)에서 동반성장 추진 실적(80점)과 협력 중소업체 대상 체감도 조사결과(20점), 가(+3점) 감점(건당 최대 -5점)을 합산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