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공기업 취업
- 관평동 안주 추천
- 다낭 볼거리
- 공기업 면접
- 관평동 점심 추천
- 관평동 커피 맛집
- 공기업 채용 공고
- 청년인턴
- 강원랜드
- 공기업 취업 정보
- 시장형 공기업
- 공기업 면접 팁
- 한국공항공사
- 준시장형 공기업
- 한국조폐공사
- 공기업 취업 팁
- 공기업 채용
- 다낭 여행
- 공기업
- 호이안
- 알리오 채용 공고
- 공기업 취업 관련 팁
- 대전 커피 맛집
- 공기업 주간이슈
- 관평동 맛집
- 수원화성 맛집
- 부산 핫플
- 송촌동 맛집
- 공기업 동향
- 대전 맛집
- Today
- Total
Creative 공기업
준시장형 공기업 부채비율 및 추세_2018-2022년 본문
시장형 공기업 부채비율 포스팅에 이어,
준시장형 공기업의 부채비율도 당연히 정리해 드려야겠죠?^^

준시장형 공기업 17개 기관의 '21년 대비 '22년 부채비율*을 보면
* 자본잠식(순자산(자본)이 자본금보다 작아진 상황)인 대한석탄공사, 한국광해광업공단 제외
(1) 11개 기관(한국수자원공사, 한국철도공사 등)의 부채비율이 하락된 반면 6개 기관의 부채비율은 상승하였어요.
- 6개 기관의 부채비율 상승 평균은 9.28%p이며, 급등한 기관은 없습니다.
(2) 17개 기관 평균 부채비율은 전년대비 6.18%p 하락하였네요. * 산식 : 기관별 부채비율 합계 / 기관수
- '22년 평균이 86.52%로 시장형 공기업 평균(194.98% / 114.72%_한전, 가스공, 지역난방공 제외 시)보다 낮아요.
- 부채비율 50% 이하 기관이 6개로 시장형 공기업(2개 기관)보다 많아요.
* 기관수도 많지만, 대규모 투자 및 원자재 수요 기관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기도 해요.
[준시장형 공기업 '21-'22 부채비율 비교표, '23.4.28 알리오 기준]
기관명 | 2021년(A) | 2022년(B) | 증감(B-A) |
㈜한국가스기술공사 | 106.86% | 101.18% | △5.68%p |
그랜드코리아레저(주) | 38.52% | 59.37% | 20.85%p |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 76.89% | 68.56% | △8.33%p |
주식회사 에스알 | 255.64% | 226.92% | △28.72%p |
주택도시 보증공사 | 26.62% | 34.57% | 7.95%p |
한국도로공사 | 82.96% | 84.35% | 1.39%p |
한국마사회 | 14.25% | 13.95% | △0.30%p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 79.62% | 92.09% | 12.47%p |
한국부동산원 | 24.10% | 20.88% | △3.22%p |
한국수자원공사 | 136.98% | 114.99% | △21.99%p |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 37.41% | 50.25% | 12.84%p |
한국조폐공사 | 104.71% | 86.33% | △18.38%p |
한국철도공사 | 287.32% | 222.59% | △64.73%p |
한국토지주택공사 | 221.30% | 218.73% | △2.57%p |
한전KDN | 35.55% | 29.26% | △6.29% |
한전KPS㈜ | 28.32% | 28.48% | 0.16%p |
해양환경공단 | 18.86% | 18.38% | △0.48%p |
* 연결재무상태표(K-IFRS)
기관별 5개년 추세치도 보여드려 볼게요.
부채비율 100% 이상 5개 기관 모두가 부채비율을 개선했어요. 좋은 소식이네요^^
코로나19와 사회적 거리두기 여파로 경영의 어려움을 겪던 철도공사, 에스알이 회복세를 보여주었고,
수자원공사*와 토지주택공사는 4년 연속 부채비율을 개선해 나가는 성과를 거두었네요.
* 매년 10%p 이상, 하락폭도 매년 확대
다만, 토지주택공사의 경우 당기순이익 실현에도 부채규모 증가세로 인해 2022년 재무위험기관으로 선정되었는데
'22년에도 부채규모가 증가하여 금리 인상 등 리스크에 대해 철저히 대응해야할 거 같아요.
부채비율 50~100% 이상 6개 기관 중 2개 기관이 하락, 4개 기관이 상승했어요.
코로나19 위기가 진정되었지만, 미국 발 금리 인상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침체 등 새로운 위기가 우려되는 상황이에요.
하락한 2개 기관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상승한 기관은 최적 투자규모 결정, 원가절감 등 자구노력을 통해
'23년 하락 전환을 기대할게요.
부채비율 50% 이하 6개 기관 중 4개 기관이 하락, 2개 기관이 상승했어요.
큰 폭의 변동이 없는 상황으로 경기침체 , 물가상승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며 부채비율을 잘 관리해 주시기를 바랄게요.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침체 등의 악재가 지속되고 있는 걱정스러운 상황이지만
공기업들이 적극적이고 슬기로운 노력으로 "국민의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위기를 극복" 하기를 기대해 봅니다.
이상으로 준시장형 공기업 부채비율 및 추세 포스팅을 마칠게요.
출처
'공기업 여행 > 준시장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준시장형 공기업 손익계산서 요약_2021-2022년 (0) | 2023.05.13 |
---|---|
준시장형 공기업 청년인턴(체험형) 시 정규직 채용 우대사항 (1) | 202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