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ive 공기업

지방소멸 대응, '지역활력타운' 공모결과 7개 지역 선정 본문

정책 여행

지방소멸 대응, '지역활력타운' 공모결과 7개 지역 선정

아치스 2023. 6. 2. 08:52

 

 

지방소멸 대응, 7개 부처 합동 "지역활력타운" 조성을 위한 공동공모 결과가 발표되었어요.

   *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지역활력타운]

 

인구감소에 따른 지역 사회, 경제 등의 위축이 우려되는 상황이고,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어 걱정인데요.

이에 대응하고자 정부 7개 부처 합동*으로 "지역활력 타운 조성"이 추진되고 있어요.

 

지역활력 타운'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은퇴자, 귀농귀촌 청년들의 지역 정착 지원을 위해 주거·생활인프라·생활서비스를 통합 지원하여 살기 좋은 주거단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공동공모 결과 7개 지역(총사업비 3,112억 원)이 선정되었네요.

 

강원 인제군 : 인제부ː터(총사업비 : 502억 원, 면적 : 29,640m2 ) 

충북 괴산군 : 성산별빛마을 행복을 노래하다!(총사업비 : 243억 원, 면적 : 34,866m2 ) 

충남 예산군 : 新활력 UP타운 조성사업(총사업비 : 157억 원, 면적 : 137,600m2 )

전북 남원시 : 지리산 활력타운 조성(총사업비 : 270억 원, 면적 : 33,993m2 ) 

전남 담양군 : 대덕 매산 지역활력타운(총사업비 : 1,267억 원, 면적 : 268,377m2 ) 

경북 청도군 : (춘)(유) 도원(DO-ONE)(총사업비 : 396억 원, 면적 : 38,889m2 ) 

경남 거창군 : 지식-IN 거창아로리타운(총사업비 : 277억 원, 면적 : 29,995m2 ) 

 

연 1조 원 규모의 지방소멸대응기금과 지역활력타운 조성을 연계하고, 선정된 지역에는 여유로운 전원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복합체육센터, 커뮤니티 센터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조성되며, 인근 도심과 연계되어 의료·교육 등 기존 생활인프라도 함께 활용할 수 있다고 하네요.

출처 :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입주민들의 원활한 정착을 위해 육아·일자리· 창업지원, 대학연계 강의 등 다양한 서비스도 지원하고, 주택은 공급유형과 방식을 다양화*하고 에너지절감기술· 無장애설계 등을 적용해 거주자의 편의를 제고할 예정이라고 해요.

   * (공급유형) 주택, 타운하우스 등 (공급방식) 건물·토지의 분양·임대 등을 다양화

 

 

[이런저런 생각]

 

지역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정책들을 많이 내놓고 있고, 앞으로도 좋은 정책들이 많이 나오기를 희망해 봅니다. 다만, 투입한 금액보다 더 많은 효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환류가 필요한 것 같아요.

 

(1) 결국은 "JOB", 근처에 많은 일이 있으면 좋겠어요. 은퇴하신 분들도 소일거리를 좋아한다는^^~

(2) 타운하우스가 보기에는 참 좋은데, 실제로는 수요자 찾기가 만만치 않고 살아가다 보면 손도 많이 가는 것 같아요. 가격의 문제로 귀결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3) 편의시설과의 거리가 얼마나 가까운지도 중요하지만 단 10분의 거리여도 가는 길이 불편하거나 으슥하다면 꺼리는 것 같아요.

(4) 기존 지역사회와 잘 어울리게 조성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지역주민이 진심으로 환영하는지도 고려사항!

 

 

출처

행정안전부_지방소멸 대응을 위해 7개 부처 합동 지역활력타운 조성 본격 추진_보도자료_'23.06.01_균형발전제도과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