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ive 공기업

2022년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제 평가_공기업 발췌 본문

공기업 여행

2022년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제 평가_공기업 발췌

아치스 2023. 4. 25. 18:14

'23.4.25일 기획재정부에서 "2022년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제 평가결과"를 발표하였네요. 
이래 저래 평가 시즌입니다^^

전년대비 산재 사망이 30% 감소(’21년 39명 → ’22년 27명)하고, 안전관리등급도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그래도 여전히 안타까운 산재 사망자가 있기에, 조속히 0명을 달성하기를 기원해 봅니다.

공공기관 안전관리 등급제는 "공공기관의 종합 안전관리 능력을 진단하고, 전사적 안전경영체계 구축을 통한 

사고사망자 감축"을 위해 2020년 도입되었습니다.

안전관리 대상 사업ㆍ시설을 보유한 공공기관 종사자 및 시설 이용 국민에 대한 안전관리가 중요한 100개 기관
대상으로 안전역량(300점)·안전수준(400점)·안전성과(300점)를 종합 심사하는데,
1등급 900점, 2등급 800점, 3등급 700점, 4등급 600점 이상이고, 5등급은 600점 미만이에요.

'23년 기준 공기업 32개 기관 중 평가대상은 총 27개 기관(시장형 13개, 준시장형 14)으로
'22년 평가 결과 2등급 11개 기관, 3등급 14개 기관, 4등급 2개 기관이에요. 관심있는 기관의 실적은 당근 알아야겠죠^^

 * 평가제외 5개 기관 : 그랜드코리아레저(즈),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부동산원,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전년과 같이 1등급이 없어 아쉽지만5등급 Zero를 달성하고 2등급 기관이 많이 늘었어요.

등급 향상을 위해 전 공기업이 많이 노력한게 보이시죠?


특히, 한국도로공사의 건설현장 안전신호등 도입 노력이 전체 산재사망 감소에 기여했다고 하네요.

 

['21-'22년 공기업 안전관리등급제 평가 총괄표,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참고

구분 '21년 결과 '22년 결과 비고
1등급 - - -
2등급 6개 기관 11개 기관   5개 기관▲
3등급 15개 기관   14개 기관   1개 기관▽
4등급 5개 기관 2개 기관 3개 기관▽
5등급 1개 기관 0개 기관 1개 기관▽

 

['21-'22년 공기업 안전관리등급제 기관별 평가표,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참고


공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만큼 
국민의 삶과 직결되는 안전분야도 매년 개선되기를 기원할게요.

2년 연속 2등급 달성한 5개 기관을 포함한 모든 기관의 노력에 감사드려요.

 

출처
공공기관, '22년 산재 사망 30% 감소_기획재정부 보도자료_2022.04.25_경영관리과

2021년도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 심사 결과 발표_기획재정부 보도자료_2022.05.05_경영관리과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