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여행

취업 핵심! 공기업 신입사원 초임 수준 바로 알기_'22년 결산기준

아치스 2023. 5. 24. 06:46

 

"32개 공기업의 신입사원 초임(기본급, 수당 등)과 순위('22년 결산기준)"를 포스팅해 드려요.

 

공기업 취업을 준비하며 '내가 들어가고 싶은 기업의 초임'을 궁금해하는 것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이겠죠.

 

물론 회사 생활을 오로지 금전적인 관점에서만 바라본다면 너무 팍팍하고 재미 없어질 수도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금전적인 사항이 취업의 핵심임을 부정할 수는 없을 거예요. 실제로 취업 후 초임이 기대했던 수준에 비해 한참 부족하다면 힘들게 취업의 관문을 넘어서고도 다시 되돌아가야 하는지 고민에 빠질 수도 있어요.

취업 전 필수 확인사항, 초임

 

오늘은 '23년 1분기 알리오(ALIO) 경영공시 자료를 기준으로 공기업별 신입사원 초임을 정리해 드릴게요.

 

기관별 신입사원 초임 관련 아래 사항들을 감안하여 보시면 도움이 되실 거예요.

 

(1)  '22년 결산기준 신입사원 초임이에요. '23년 예산기준도 공시되었지만 예산과 실집행액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직전연도 결산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금년도에는 소폭 상승('23년 총인건비 인상률 정부지침은 1.7%)을 예상하시면 돼요.

 

(2) 기관별 초임 수준에는 경영평가 성과급이 제외*되어 있어요. 당해 연도 근무에 따른 경영평가 성과급**은 다음 연도에 받게 되는데, 예를 들어 입사 2년 차에는 '1차 연도 초임 + 정기승급 & 임금 인상분 + 직전 연도 근무 경영평가 성과급'이 보수가 될 거예요.

   * 전년도 근무실적이 없어 당해연도 성과급을 지급하지 않음

   ** 경영평가 결과가 좋은 기관에 취업하면 연봉이 올라갈 가능성이 높겠죠? 물론 항상 잘 받기는 어렵고 등락을 거듭해요.

 

(3) 초임 공시 기준이 "대졸, 사무직, 군미필자, 무경력자 대졸 최하위 직급"인데, 기관마다 대졸 최하위 직급이 다소 상이하여 초임 비교가 왜곡될 우려가 있어요.

 

(4) 기관별 보수체계가 달라 초임만으로 생애 보수를 비교하기 어렵고*, 장기적으로 역전의 가능성도 있어요. 그래도 일단 높은 초임에 눈이 가는 것은 어쩔 수 없겠죠^^

    * 초임이 낮아도 승진 시 보수 상승이 상대적으로 가파를 수 있고, 초임이 높아도 승진 시 보수 상승이 완만할 수 있어요

 

 공기업별 신입사원 초임 현황을 살펴보면,

 

(1) 공시자료로 단순 비교 시 상위 기준으로 한국부동산원,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서부발전(주)..... 순

   - 32개 기관의 초임 범위: 47,617천 원 ~ 33,361천 원(40,000천 원 이상 15개 기관)

 

(2) 시장형 공기업의 평균임금은 42,091천 원[산식: 기관별 초임 합계 ÷ 기관수(547,181천 원 ÷ 13개 기관)]

   - 준시장형 공기업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7개 기관이 상위 10위에 포함되어 있어요.

 

(3) 준시장형 공기업의 평균임금은 38,363천 원[산식: 기관별 초임 합계 ÷ 기관수(728,902천 원 ÷ 19개 기관)] 

   - 부동산, 레저 관련 기관의 평균임금이 높네요.

 

 

[공기업 신입사원 초임 비교표_'22년 결산 기준]   ※ 알리오(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23년 1분기 공시 기준

구분 (단위: 천원) 기본급 수당 등 합계 비고
시장형 ㈜강원랜드 26,698 11,269 37,967 18
" 인천국제공항공사 39,771 7,451 47,222 2
" 한국가스공사 32,574 13,644 46,218 4
" 한국공항공사 36,979 503 37,482 21
" 한국남동발전㈜ 34,404 9,156 43,560 9
" 한국남부발전㈜ 32,832 11,709 44,541 6
" 한국동서발전㈜ 34,119 8,937 43,056 10
" 한국서부발전㈜ 33,336 13,384 46,720 3
" 한국석유공사 34,681 1,100 35,781 27
" 한국수력원자력㈜ 30,179 12,170 42,349 11
" 한국전력공사 37,600 3,439 41,039 15
" 한국중부발전㈜ 34,452 10,185 44,637 5
" 한국지역난방공사 34,536 2,073 36,609 23
준시장형 ㈜한국가스기술공사 24,730 12,773 37,503 20
" 그랜드코리아레저(주) 33,852 7,490 41,342 14
" 대한석탄공사 31,970 2,333 34,303 29
"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30,700 2,753 33,453 31
" 주식회사 에스알 21,528 16,018 37,546 19
" 주택도시 보증공사 42,661 1,725 44,386 7
" 한국광해광업공단 36,637 - 36,637 22
" 한국도로공사 32,412 6,687 39,099 17
" 한국마사회 40,188 3,496 43,684 8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37,200 4,349 41,549 13
" 한국부동산원 39,648 7,969 47,617 1
" 한국수자원공사 35,787 3,981 39,768 16
"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36,483 - 36,483 25
" 한국조폐공사 25,975 10,575 36,550 24
" 한국철도공사 23,910 10,452 34,362 28
" 한국토지주택공사 31,107 2,359 33,466 30
" 한전KDN 32,931 430 33,361 32
" 한전KPS㈜ 35,619 5,932 41,551 12
" 해양환경공단 31,497 4,745 36,242 26

 

경영평가 성과급이 제외되었고,

기관별 대졸 최하위 직급 차이, 상이한 보수체계 등으로 정확한 비교가 어렵기에 참고만 하시면 될 것 같아요.

심 있는 기관은 다니시는 분에게 정확한 수준을 확인해 둘 필요가 있어요.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칠게요.

 

 

출처

ALIO(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기획재정부_2023년도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운용지침 확정_보도자료_'22.12.19_공공제도기획과

반응형